전체 글

기술 지식 오목 조목 쌓기
728x90
· Spring
Spring Boot에서는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을 통해 공통 관심 사항을 모듈화하여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pring Boot에서 AOP의 개념과 활용 방법을 알아보고, 실제 예제를 통해 AOP를 구현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란? AOP는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의 약자로, 공통 관심 사항을 여러 모듈에 분리하여 관리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입니다. Spring Boot에서는 AOP를 통해 핵심 비즈니스 로직과 분리된 관점(Aspect)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AOP 주요 용어: Aspect(관점): 공통 관심 사항을 의미하며, Advice와 Pointcut을 포함합니..
· JAVA
Java에서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을 위한 다양한 클래스와 API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Java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과 주요 클래스를 소개하고, 간단한 예제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개념 이해하기: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Java에서는 소켓(Socket)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TCP와 UDP: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신뢰성 있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입니다.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연결을 설정하고, 전송 후에 연결을 해제합니다. UDP(User Datagram Protocol):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연결 설정 없..
· JAVA
Java에서 함수형 인터페이스는 단 하나의 추상 메서드를 갖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람다 표현식과 함께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Java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개념과 사용법을 알아보고, 람다 표현식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함수형 인터페이스란? 함수형 인터페이스는 단 하나의 추상 메서드를 갖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합니다. Java에서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함수형 인터페이스라고 부르며,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FunctionalInterface 애너테이션: @FunctionalInterface 애너테이션은 함수형 인터페이스임을 명시적으로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해당 인터페이스가 함수형 인터페이스임을 확인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검사할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되는 함수형 인터페이..
· JAVA
Java 7부터 도입된 try-with-resources 구문은 자원 관리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기능으로, 자원을 자동으로 해제하여 메모리 누수를 방지합니다. 이 글에서는 try-with-resources 구문의 개념과 활용 방법을 살펴보고, 자원 관리를 위한 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try-with-resources 구문이란? try-with-resources 구문은 자원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try 블록 내에서 자원을 생성하고 사용한 후, try-with-resources 구문이 끝나면 자원을 자동으로 해제합니다. AutoCloseable과 Closeable 인터페이스: try-with-resources 구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AutoCloseable 또는 Closeable ..
· JAVA
Java에서 직렬화는 객체의 상태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기술로, 객체의 영속성을 유지하고 분산 시스템에서 객체를 주고받는 데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Java 직렬화의 개념과 활용 방법을 살펴보고, 직렬화를 통해 객체를 영속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렬화란? 직렬화는 객체의 상태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저장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역직렬화는 바이트 스트림을 다시 객체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직렬화의 필요성: 객체의 영속성 유지: 객체를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나중에 불러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분산 시스템에서 객체 전송: 네트워크를 통해 객체를 전송하고,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직렬화 ..
· JAVA
Java에서 어노테이션은 코드에 메타데이터를 부여하여 컴파일러나 런타임 환경에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Java 어노테이션의 개념과 활용 방법을 살펴보고, 자주 사용되는 내장 어노테이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노테이션이란? 어노테이션은 코드에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며, 컴파일러나 런타임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클래스, 메서드, 변수 등에 메타데이터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어노테이션 의 종류: 내장 어노테이션 (Built-in Annotations): Java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어노테이션으로, @Override, @Deprecated, @SuppressWarnings 등이 있습니다. 사용자 정의 어노테이션 (User-defined Ann..
· JAVA
Java 8부터 도입된 람다 표현식은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핵심 기능 중 하나로, 코드의 간결성과 가독성을 높여줍니다. 이 글에서는 Java 람다 표현식의 개념과 활용 방법을 알아보고,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람다 표현식이란? 람다 표현식은 익명 함수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코드의 간결성을 높여줍니다.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코드 블록을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람다 표현식의 구문: 람다 표현식은 매개변수 목록, 화살표(->), 그리고 실행될 코드 블록으로 구성됩니다. (매개변수 목록) -> { 실행될 코드 }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 람다 표현식은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코드 블록으로 사용됩니다. 함수형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 JAVA
Java에서 리플렉션은 실행 중에 클래스의 정보를 조사하고, 필드, 메서드, 생성자 등을 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 글에서는 Java 리플렉션의 개념과 활용 방법을 살펴보고, 리플렉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플렉션이란? 리플렉션은 실행 중에 클래스의 정보를 조사하고, 필드, 메서드, 생성자 등을 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자신의 구조를 조사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Class 객체 얻기: Java에서는 클래스 정보를 나타내는 Class 객체를 얻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Class 객체를 얻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 클래스명.class Class clazz1 = MyClass.class; //..
728x90
酒인장
Tier Coding